티스토리 뷰

리눅스정리

디렉터리별 저장 내용

잔잔한 물결처럼 2025. 4. 18. 17:50
디렉터리 저장내용
/ 파일 시스템이 있는 최상위 디렉터리
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인 동시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점이 되는 디렉터리
/boot 부트 디렉터리로 부팅 시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 저장
/proc 시스템 정보 디렉터리이며 커널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
현재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실제로 사용되는 장치, 하드웨어 정보 저장
/lib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터리
커널 모듈 파일들과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해 주는 라이브러리 저장
/bin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
root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디렉터리
/dev 시스템 디바이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터리
하드디스크 장치 파일, CD-ROM 장치파일 같은 파일 저장
/etc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
/root 시스템 관리자용 홈 디렉터리
/sbin 관리자용 시스템 표준 명령 및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실행 명령어 저장
/usr 사용자 디렉터리로 사용자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저장
/home 사용자 계정 디렉터리로 계정들의 홈 디렉터리가 위치
일반 사용자들이 로그인 시 처음으로 위치하게 되는 디렉터리
/var 가변 자료 저장 디렉터리로 로그 파일이나 메일 데이터 저장
/tmp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 작업을 할 때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 저장
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읽기와 쓰기가 허용
스티키 비트(sticky bit) 설정으로 파일의 소유자만이 자신의 소유 파일 삭제 가능
/mnt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할 때 사용
/lost+fount 결함이 있을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
  • proc
    •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, 실제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가 아니라 메모리상에서 동적으로 생성됨
    • 시스템의 하드웨어 정보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파일/디렉터리 형태로 제공
    • 각 프로세스는 고유 PID(프로세스 ID)를 가진 디렉터리로 정보가 저장됨
    • 예시:
      • /proc/cpuinfo : CPU 정보
      • /proc/meminfo : 메모리 정보
      • /proc/[PID] : 각 프로세스별 상세 정보
    • 사용자가 접근할 때마다 커널이 실시간으로 파일 내용을 생성
    • 하드디스크 용량을 차지하지 않음
    /lib
    • 시스템의 핵심 실행 파일(/bin, /sbin 등)이 필요로 하는 필수 공유 라이브러리 저장
    •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함수들이 포함되어 있어 디스크 공간을 절약
    • 정적 라이브러리: 컴파일 시 프로그램에 포함
    • 동적 라이브러리: 실행 시 메모리로 로드되어 메모리 사용 효율성 높음
    • 64비트 시스템의 경우 /lib64 디렉터리도 존재
    /dev
    • 하드디스크, 프린터, 키보드 등 모든 장치를 파일 형태로 관리
    • 장치 파일(device file) 또는 특수 파일(special file)이라고 부름
    • 블록 장치 파일: 하드디스크, CD/DVD 등 저장장치
    • 문자 장치 파일: 키보드, 마우스, 프린터 등 입출력 장치
    • 표준 입력장치: 키보드, 표준 출력장치: 모니터
    /etc
    •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과 부팅 관련 스크립트 저장
    • 사용자 정보, 암호, 보안 관련 파일 등 포함
    • 주요 파일:
      • /etc/group : 그룹 정보
      • /etc/passwd : 사용자 목록
      • /etc/shadow : 암호화된 패스워드 및 만기일 등 정보
      • /etc/rc, /etc/init, /etc/fstab 등 시스템 부팅·운영 관련 파일
    /usr
    • 시스템이 아닌 일반 사용자를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저장
    • 공유 가능한 프로그램, 라이브러리, 헤더파일 등 포함
    • 일반적으로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
    • 주요 하위 디렉터리:
      • /usr/bin : 사용자 명령어
      • /usr/lib : 라이브러리
      • /usr/include : 헤더파일
      • /usr/local : 로컬 소프트웨어
    /var
    • 시스템 운영 중 생성되는 가변 데이터 저장
    • 로그파일, 스풀링, 캐시, 임시파일 등
    • 주요 하위 디렉터리:
      • /var/log : 로그파일
      • /var/spool : 스풀 데이터
      • /var/cache : 캐시 데이터
      • /var/tmp : 임시파일 (재부팅 시 보존)
    /lost+found
    • 파일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진단·복구하는 fsck에 의해 사용
    • 손상된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임시로 이곳에 저장
    • ext 계열 파일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생성
    • 평상시에는 비어 있음, 파일시스템 점검 시에만 사용

'리눅스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시스템 종료 명령어  (0) 2025.04.24
네트워크 관련 명령어  (0) 2025.04.24
디렉터리 관련 명령어  (0) 2025.04.23
리눅스 명령어 정리  (0) 2025.04.19
리눅스 부팅  (0) 2025.04.1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